내가 낸 돈 vs 정부가 주는 돈?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의 핵심 차이
‘기초연금’과 ‘노령연금(국민연금)’. 이름은 비슷하지만, 이 두 제도는 완전히 다릅니다. 노후를 위한 필수 제도지만 이해가 어렵고, 정보가 분산되어 있는 경우가 많죠. 이 글에서는 두 연금의 핵심적인 차이와 수급 조건, 신청 방법, 실제 수령 금액까지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기초연금: 정부가 주는 복지형 연금
기초연금은 ‘내가 낸 돈’이 아닌 국가 예산으로 운영되는 복지 연금이에요.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고 **소득 하위 70%**에 해당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수급 요건은 다음과 같아요.
구분 | 소득인정액 기준 | 최대 수령 금액 |
단독가구 | 228만 원 이하 | 34만 2,510원 |
부부가구 | 364만 8,000원 이하 | 부부 합산 약 54만 8,000원 |
‘소득인정액’이란 단순한 월급뿐 아니라, 근로·사업소득, 일반·금융재산, 부채 등을 모두 합산해 계산한 종합 지표예요.
즉, 연금액이 아닌 전체 생활 기반을 보고 판단한다는 뜻입니다.
노령연금: 내가 낸 국민연금 보험료의 결과
노령연금은 국민연금을 10년 이상 납부한 사람이 일정 연령이 되면 매달 받는 사회보험이에요.
즉, 내 월급에서 빠져나간 그 돈이 미래에 내 소득이 되어 돌아오는 구조죠.
출생연도 | 연금 개시 나이 |
1953~1956년생 | 만 61세 |
1957~1960년생 | 만 62세 |
1961~1964년생 | 만 63세 |
1965~1968년생 | 만 64세 |
1969년생 이후 | 만 65세 |
가입 기간과 납입 금액이 길고 많을수록 수령액도 커지며,
2025년 기준 노령연금 수령 금액은 약 30만 원~100만 원 이상까지 다양하게 나옵니다.
둘 다 받을 수 있나요? YES, 단 감액 주의
많은 분들이 “둘 중 하나만 받을 수 있나요?” 하고 묻지만,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은 동시에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노령연금 수령액이 많을수록 기초연금은 감액된다는 점을 꼭 기억하세요.
국민연금 수령액 | 기초연금 감액 여부 |
45만 원 이하 | 기초연금 전액 수령 가능 |
45만~51만 원 | 일부 감액 가능성 |
51만 3,760원 초과 | 감액 또는 수급 불가 가능성 ↑ |
특히 부부가 함께 수급할 경우 기초연금은 최대 20%까지 감액됩니다.
예를 들어, 단독가구는 최대 34만 2,510원까지 받을 수 있지만,
부부 수급 시에는 80% 수준으로 조정되어 각자 약 27만 원 정도 받게 돼요.
기초연금 수령액, 어떻게 계산될까?
조금 복잡하지만 실제 계산 예시를 통해 이해해볼게요.
항목 | 금액 |
기준연금액 | 342,510원 |
국민연금 수령액 | 550,000원 |
소득재분배급여액 (국민연금의 30~50%) | 약 270,000원 |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아요.
기초연금 = 기준연금액 – (소득재분배급여액 × 2/3) + 부가연금액(기준의 50%)
→ 342,510 – 180,000 + 171,255 = 333,765원
(부부 수급이면 여기서 20% 추가 감액)
두 연금의 신청 방법은 어떻게 될까?
연금 종류 | 신청 시기 | 신청처 | 비고 |
기초연금 | 만 65세 생일 한 달 전부터 | 읍면동 주민센터, 국민연금공단, 복지로 사이트 | 자동지급 아님, 반드시 신청 필요 |
노령연금 | 연금 개시 나이 도달 시 | 국민연금공단 지사, 홈페이지, 앱, 팩스 등 | 청구 후 지급, 5년 소급제한 있음 |
노령연금은 연금을 받을 자격이 생긴 후 5년 안에 신청하지 않으면 소급 지급이 불가하므로
반드시 기한을 체크해두세요!
실제 사례로 이해하는 연금 수급 구조
구분 | A씨 (단독가구) | B씨·C씨 부부가구 |
국민연금 수령 | 40만 원 | 각자 55만 원 |
기초연금 수령 | 34만 2,510원 (전액) | 약 27만 원씩 (감액 후) |
총합 수령 | 74만 2,510원 | 부부 합산 약 164만 원 |
국민연금을 많이 받는 분일수록 기초연금이 줄어들기 때문에,
자신의 연금 수령액을 미리 예측해보고 시뮬레이션을 돌려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초 vs 노령, 한눈에 비교 정리
항목 | 기초연금 | 노령연금 |
성격 | 복지제도 | 사회보험 |
재원 | 국가 예산 | 개인·회사 납부 |
수령 조건 | 만 65세 + 소득 하위 70% | 가입 10년 이상 + 개시 연령 도달 |
수령 금액 | 최대 34만 2,510원 | 약 30~100만 원 이상 |
자동 지급 여부 | 신청 필요 | 신청 후 지급 |
감액 여부 | 국민연금 수령 시 감액 | 없음 |
'사회,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청래의 직진, 김병기의 역주행…특검 3법 혼선, 책임은 누구인가? (0) | 2025.09.13 |
---|---|
찰리 커크 총격 사망…미국 정치 지형 흔드는 충격의 사건 (0) | 2025.09.12 |
추석 연휴 앞두고 전국 공항 파업 예고…항공 대란 피하려면 지금부터 준비하세요! (1) | 2025.09.11 |
광명 초등생 유괴 미수 사건, 더 이상은 안 된다 (1) | 2025.09.10 |
순천 묻지마 살인, 박대성 무기징역 확정…우리 사회에 남긴 질문 (0) | 2025.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