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담] 요즘 Hot 이슈

아비뇽 페스티벌, 한국어 초청 언어 선정의 역사적 의미와 앞으로의 문화 교류 방향

by 율벚꽃 2025. 8. 2.
반응형

아비뇽 페스티벌 그림

📌 디스크립션

프랑스의 대표 공연예술 축제 *아비뇽 페스티벌(Avignon Festival)*에서 2026년 공식 초청 언어로 한국어를 처음 포함시켰습니다.

아시아 언어로는 최초로 선정된 이번 결정은 한국 문화의 위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입니다.

과거 사례와 함께 깊이 있는 흐름을 살펴보세요.


1. 아비뇽 페스티벌의 언어 초청 프로그램 역사

아비뇽 페스티벌은 1947년 프랑스에서 시작된 연극 중심의 공연예술 축제로,

이후 현대 무용, 음악, 토론 등 다양한 장르로 발전했습니다.
최근 몇 년간은 “공식 초청 언어(Guest Language)” 제도를 통해 특정 언어권의 예술을 조명해왔습니다.

연도초청 언어특징

 

2023 영어 국제적 소통 기반 강조 Korea.net
2024 스페인어 스페인어권 예술 프로그램 포함 확대 Festival d'Avignon
2025 아랍어 중동 문화와의 교류 강화 Festival d'AvignonKorea.net
2026 한국어 아시아 언어 최초 선정, 한국 공연예술 공식 초청 Korea HeraldKorea.net
 

따라서 한국어의 선정은 아시아권 언어로는 최초의 사례이며, 세계 공연예술 무대에서 한국의 존재감이 공식적으로 반영된 역사적 전환점입니다.


2. 왜 한국어인가? 선정 배경과 의미

2025년 7월, 아비뇽 페스티벌 측은 공식 SNS를 통해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한국어를 선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K-문화뿐 아니라, 공연예술 데이터와 그 안에 담긴 감정과 실험성이 함께 조명되어야 한다”는 취지였습니다.

더욱이, 예술감독 티아고 로드리게스는 2023년 서울을 방문해 한국 공연예술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전했어요.

이때의 경험이 한국어 초청 제안에 직접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또한, 한국 예술 공동기획 기관인 **한국예술인상호교류재단(KAMS)**은 공식 초청 프로그램 준비에 적극 참여하며,

연극·무용·문학·시네마 등의 교류를 추진 중입니다.

이번 선정은 단순히 언어 차원을 넘어, 공연예술 콘텐츠의 세계화와 문화교류의 의미를 동시에 지닙니다.


3. 과거 아시아 언어 초청 사례와 차별점

지금까지 아비뇽 페스티벌의 공식 초청 언어에는 아시아 언어가 단 한 번도 포함된 적이 없었습니다.

영어, 스페인어, 아랍어 등 유럽권과 중동권 언어에 국한되었죠.

 

과거 한국 작품이 공식 초청 프로그램(IN)에 포함된 사례로는 1998년 “Desir d’Asie(아시아의 욕망)” 프로젝트 때에 한정되며,

그 이후 약 28년 만에 공식 초청이 다시 이루어지는 것이라는 점도 역사적으로 의미가 큽니다.

 

즉, 이번 한국어 선정은 단지 언어의 선정에 그치지 않고, 무대에서 한국 공연예술의 공식 초청 및 예술가의 초대까지 연결되는

공식적인 문화 참여의 복원이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4. 2026 한국어 초청 이후의 기대 효과

한국어 선정 이후의 효과는 언어 홍보 측면을 넘어, 공연과 예술 네트워크 확장까지 다양합니다.

분야구체적 프로그램기대 효과

 

공연 초청 한국 연극ㆍ무용 작품 IN 프로그램 진입 국제 무대 데뷔, 글로벌 관객 확보
문화 교류 워크숍, 강연, 토크, 전시 등 예술인 협력 + 상호 이해 강화
디지털 콘텐츠 다국어 출판·영상·문학 콘텐츠 글로벌 접근성 확대
브랜드 인지도 K-문화 고급화 및 다양성 이미지 문화 소프트파워 강화
 

특히 KAMS와 아비뇽 페스티벌의 공동 기획으로 한국 전시 공간, 라이브 퍼포먼스, 언어 세미나, 예술 네트워킹 행사 등이

마련될 예정이며, 단순 초청이 아닌 문화 전략적 교류의 장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 결론

아비뇽 페스티벌의 초청 언어로 한국어가 선정된 이번 결정은 아시아 언어로는 첫 사례라는 의미와 함께,

한국 공연예술의 국제적 위상 회복이라는 역사적 전환점입니다.

 

앞으로 예술 현장에서 한국어가 어떤 식으로 활용될지, 그리고 한국 콘텐츠가 얼마나 넓은 무대에서 퍼져나갈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아비뇽페스티벌
아비뇽페스티벌

반응형